GALLERY
Sound Engine
작품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재인 종이로 제작된 휴대폰을 위한 무전력 스피커이다. 휴대폰의 작은 울림을 모아 전면으로 확성해주는 기능을 가진 작품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고 LG 휴대폰의 광고로도 사용되었다.
AB, A corrugated fiber board, steel, brass, aluminium / 475 x 530 x 1250(h) mm / 2018
Collection A
작품은 1900년도 당시의 간결한 가구의 형태를 띄고 있지만 하나하나 마다 작가가 선정하는 곡과 어우러지는 소재를 선정하여 모든 작품이 각자의 소리와 그에 따른 해석이 기록되어있는 가구형 음향기기이다.
walnut, leather, steel, aluminium brass, speaker system / 1000 x 370 x 900(h)mm / 2018 / croco ver.
Artisan Edition Ver. (un decided) USD #22
Golden Log
작가의 기존 작품들은 음향기기 보다는 조형물에 가깝게 디자인되었으나 “Golden Log"는 이전 작품과는 달리 음향학적 이야기들을 디자인적으로 풀어내었다. 현존하는 음향기기 들은 제작공정의 편의를 위해 네모형태의 형상으로 울림통 안쪽 모서리가 여덟 곳이 존재하는데 이 같은 모서리가 울림통으로서 좋지 않게 작용한다. 작가는 울림통을 원형으로 제작하여 단점을 디자인으로 보완하였으며, 몸통과 다리 연결부분을 금속으로 나누어 진동이 최소화 되도록 디자인 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유닛역시 독일 아큐톤社 의 세라믹 제품을 사용하여 보다 빠른 응답속도를 끌어내었고, 고가의 제품에서 볼 수 있는 리본트위터 사용으로 보다 정확하고 넓은 음역 대를 지원한다.
독일 대표 하이파이 브랜드 아큐톤社 와 문도르프社의 협업 30주년을 기념하기위해 출시된 역사적인 제품을 한국 최고의 음향전문 집단 ”Sound Forum" 이 튜닝하고 Analogizm 이 디자인한다. “Golden Log" 는 이러한 이야기들의 기록을 담아낸다.
walnut, brass, speaker system / 408 x 600 x 1350(h)mm / 2016
Limited Edition #12
Golden Bug
어린시절, 우리에게는 보물처럼 간직하던 음향기기들이 있었다. LP플레이어, 휴대용 카세트테이프, CD플레이어를 거쳐 mp3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추억을 선사해주는 기기들이었다. 이 모든 것들은 우리에게 단순히 음악을 들려주는 기계를 떠나 당시의 기억을 되살려주는 기억장치라고 볼 수 있으며 우리는 이런 장치를 ‘음향기억장치’라고 명명했다.
디자인은 진보함에 따라 점점 단순화되어지고 감성적인 요소들은 사라지고 있다. 놀라운 기술력들을 뽐내며 우리를 대하고, 화려한 디지털기술들을 내포하고 있지만, 과거 우리를 기쁘게 해 주었던 기기들의 감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새로운 음향기억장치를 통해 아날로그적 감성을 캐릭터로 형상화하여 당신들에게 선물하고자 한다. 나의 작품은 세상은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지만 인간의 몸과 마음은 아날로그적 감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처럼 새로운 것들과 오래된 것들이 함께 어울리며 공존하고 싶은 바람을 담고 있다.
walnut, steel, brass, birch plywood, aluminium / 530 x 350 x 800(h)mm / 2015
{ A DESIGN AWARD 2017 " WINNER " }
Wine Credenza II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각종 편의제품도 늘어가지만 문화의 본질적인 의미를 잊은 채로 양적으로만 늘어나는 듯하다.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이룬다. 여러 와인을 소유하고 마시기 전 어떤 와인을 마실 것인가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즐거움 이고 두 번째로 내장된 와인들을 직접 이동시키는 유희적 재미, 그리고 꺼낸 와인을 올려놓고 마실 수 있는 테이블의 용도를 겸비한다는 점이다.
walnut, plywood of birch, gear stainless steel, steel, glass / 1040(h) x 1330 x 570 / 2015
Limited Edition #12
Ak Sang II
“고요한 시간에 음(音)을 들을 수 있게, 어두운 시간에 작곡(作曲) 할 수 있게”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음악가 이자 애국가의 후렴 전(前) 1절을 작사 한 김인식 선생에게 헌정하는 작품 “악상2”.
그는 숭실학교 기숙사에서 지내다가 오르간을 치다가 쫓겨나기도 했다. 김인식과 친구들은 처음에는 열심히 오르간을 쳤으나 주위의 눈총 때문에 다들 그만두고 김인식 혼자만 치게 되었다. 오르간을 독차지한 그는 밤이고 낮이고 시간만 나면 오르간을 쳤고, 결국 공동시설인 기숙사의 다른 학생들이 진정을 내어 쫓겨나고 말았다. 음악에 대한 그의 열정이 느껴지는 일화이다.
그에게 헌정 하고 싶은 악상 (樂床) 은 음악에 미쳤던 그의 열정을 위해 제작되었다.
walnut, speaker system, steel / 840(h)x700x355 / 2015
Ryon
대리석의 자연스러운 멋과 황동의 조화로 모던하게 표현한 테이블.
심플한 다리구조가 테이블의 상판과 조화를 이룬다.
marble, steel / 840(h)x700x355 / 2015
Beato
디자인 돌침대 업체인 리스톤과 디자이너 한성재의 콜라보침대 "Beato"
한성재 작가는 리스톤 만의 돌 가공기술과 기업의 이념 등을 가구에서 표현하였다. 얇으며 깨지지 않는 가공기술은 부드러운 곡선의 나무가 감싸고 있으며 리스톤 의 이념은 오래된 듯한 빈티지가죽위에 패턴 화되어 모던하지만 그 깊이를 더합니다. 또한 침대에 음향시스템을 더함으로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한다.
walnut, speaker system, leather, stone bed / 1700 x 2500 x 820(h) mm (2015)
Redmegan
더치커피 브랜드 "Redmegan"
기존 커피와는 달리 최고급원두를 티타늄코팅이 되어있는 기계에 볶아서 훨씬더 풍부한 커피를 제공하는 Redmegan의 로고와 커피병을 디자인하였다. 회사의 이념과 대표의 성향을 병과 로고에 스며들게 디자인 하였다.
70 x 70 x 200(h)mm (2014)
Organism II
식물은 외관에서 유려한 곡선을 가지고 있고 꽃술은 밀도 있는 선들의 집합으로 아름다운 외형을 뽐내며 생존력을 한 몸에다 갖추고 있다.
Organism II는 이런 식물을 모티브로 외관에서 보이는 유기적인 곡선과 사물에 빛이 맺히면서 생기는 곡선으로 식물의 외관을 디자인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스피커 부분은 식물의 꽃술과같이 살아있음을 알리려는듯하게 디자인 하였다.
3Edition. / No. 2~3
speaker , birch plywood , steel, ottchil / 500 x 650 x 1385(h) mm (2014)
Table I (speaker ver.) , Table I
가장 기본적인 수납이 가능한 테이블 이다.
하지만 낮은곳에 수납을 할 때엔 생각보다 많은 수고가 따른다.
이런 수고를 조금이나 덜고자 수납각도를 사람에게 향하도록 디자인 하였다.
(speaker ver은 수납공간에 스피커를 장착하였다.)
Table I (speaker ver.) Table I
walnut, steel, speaker system walnut, steel
1200 x 740 x 450 mm(2014) 1200 x 640 x 450 mm(2014)